메뉴 건너뛰기

6.25는 '자유수호전쟁'이었다

2011.01.21 09:55

관리자 조회 수:928 추천:99


[박효종, “6․25는 ‘자유수호전쟁’이었다,” 중앙일보, 2010. 6. 25; 서울대 윤리학과 교수.] *작년 6월의 글.

6․25 전쟁이 일어난 지 내일로 60주년이 되는데, 우리의 소회는 착잡하다. 그동안 6․25는 ‘잊혀진 전쟁’이었다. 최근 언론에서 집중적으로 조명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6․25에 대한 사실관계를 정확히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특히 누가 누구와 싸웠는지는 ‘골든벨 스타’가 되어야 알까 말까 할 정도다. 이러한 무지에는 김대중․노무현 정부가 대북 포용정책을 추진하면서 6․25의 실체를 국민의 기억에서 모호하게 만든 것이 한몫했다.

그러나 뭐니 뭐니 해도 가장 큰 문제는 6․25의 진실과 의미가 우리 공동체의 구성원들 사이에 명확하게 공유되고 있지 못하다는 점이다. 6․25의 상처와 아픔이 아직도 남아 있는데, 무엇을 위해 싸웠는지가 분명치 않은 것이다. 단순히 남과 북이 서로 총을 겨눈 동족상잔(同族相殘)의 비극에 불과한 것인가. 전쟁에 대한 의미가 확실치 않으면 젊음과 목숨을 바친 호국세대의 희생과 헌신은 ‘망각의 늪’에 빠질 수밖에 없다.

이 점에 있어 북한은 한 발 앞서 있다. 일요일 새벽 기습 남침해 동족의 가슴에 총을 들이댄 전쟁임에도 ‘조국해방전쟁’이라고 부른다. 중국과 소련을 끌어들여 한반도를 피로 물들여 민족에 고통을 안겨준 전범(戰犯)이 ‘조국해방전쟁’이라고 하니 어이가 없는 일이지만, 공산주의적 발상으로 가치관을 부여해 주민들의 공유된 인식으로 삼는다는 점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비하면 대한민국은 다원주의사회라 그런지 그 진실과 의미조차 십인십색(十人十色)이다. ‘실패한 통일전쟁’이라고 부르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그냥 ‘한국전쟁’으로 부르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이런 명칭으로는 우리가 겪은 전쟁의 가치론적 의미를 크게 왜곡할 뿐이다.

과연 6․25는 우리에게 어떤 전쟁이었나. 그것은 자유를 수호하기 위한 전쟁이었고 자유의 땅을 지키기 위한 호국전쟁이었다. 그런 자유수호 의지가 결연(決然)했기에 소련제 탱크를 앞세우고 쳐들어오는 북한 공산주의자들 앞에 무릎을 꿇지 않았다. 우리는 중과부적(衆寡不敵)이었고 맨손이었지만 용감했다. 정규군으로도 싸웠고 학도병으로도 싸웠다. 벌판에서도 싸웠고 산에서도 싸웠으며 참호를 파고 싸웠고 철교에서도 싸웠다. 하늘에서도 싸웠고 바다에서도 싸웠다. 그 노력이 헛되지 않아 자유와 인간의 존엄성을 지켜냈다.

만일 아버지 세대가 죽음을 두려워한 나머지 ‘비겁한 평화’를 원했다거나 적화통일을 받아들였더라면 지금 우리는 어떻게 되었을까. 틀림없이 현대판 노예의 삶을 살았으리라. 밤낮으로 김일성․김정일 어록을 외우고 저녁마다 자아비판하느라 진이 빠졌을 게다. 또 비만 오면 김정일 사진이 비 맞을까 밤잠을 설치고 집집마다 김 부자 사진을 걸어 놓고 절을 했을 터이다. 그러나 ‘비겁한 노예’보다는 ‘떳떳한 자유인’이 되고자 했기에 분연히 일어섰다.

지금이야말로 이 6․25가 자유를 수호하기 위한 ‘성전(聖戰)’이었다는 사실을 엄숙하게 선언하고 자유수호를 위한 결의를 다져야 할 때다. 물론 6․25는 휴전으로 끝난 전쟁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도 6․25는 단순한 과거가 아니라 현재 진행형으로 보아야 한다. 이번의 천안함 침몰 사태야말로 이에 대한 산증인이 아닌가. 어쩌면 그렇게 6․25와 닮은꼴일까. 북한이 몰래 기습한 것도 똑같고 또 자신과 무관하다고 잡아떼는 꼴도 똑같다.

그런 것들은 북한의 상투적 수법이라고 쳐도 정작 우리 사회에서조차 천안함의 진실이 유언비어(流言蜚語)로 덧칠되고 있어 유감이다. 정부가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조사 끝에 북한의 소행이라고 결론을 내렸음에도 괴담 수준의 의혹들은 계속 제기되고 있다. 정말 천안함의 진실은 ‘의처증(疑妻症)’처럼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일까. 아무리 본인이 결백하다고 하소연해도 믿어주지 않는 것이 ‘의처증’의 속성이다. 참여연대는 한술 더 떠 유엔안보리에 정부가 밝힌 천안함 결과는 의혹투성이라고 서한을 보내기까지 했는데, 참여연대야말로 ‘의처증 환자’와 같다는 생각이 든다.

이 땅에서 표현의 자유와 결사의 자유를 누리면서도 그 자유가 어디서 비롯되었는지 조금도 알려고 하지 않는 좌파 시민단체들이여! 아버지 세대가 6․25 때 바친 희생과 헌신 덕분에 그대들이 누리는 자유가 공고해졌음을 기억하라. 그리고 이번 천안함의 진실을 받아들이지 못하면, 아버지 세대가 지킨 ‘자유의 탑’을 무너트리는 ‘자유의 반역자’가 된다는 점을 명심하라. 6․25의 진실과 의미가 중요한 것은 오늘날 그대들이 그토록 강조해 마지않는 자유와 인권이 거기서 비롯되었기 때문이다.
번호 제목 조회 수
52 [6.25] 6·25, 기억의 고지 사수해야 5
51 [백선엽 장군] 사설: 나라 살린 다부동 승전, 73년 만에 세워진 백선엽 장군 동상 16
50 [6.25] 어느 노병의 마지막 소원 20
49 [6.25전쟁] 6·25전쟁이 남긴 ‘자유의 의무’ 20
48 [6.25] 사후 2년 만에 제대로 모신 ‘6·25 영웅’ 백선엽 장군 22
47 [6.25전쟁, 인천상륙작전] '0.02%' 확률 뚫고 성공…전쟁 흐름 바꾼 세기의 전투였죠 238
46 [6.25전쟁, 중공] 김은중, "중국 대사를 당장 초치하라" 79
45 [6.25전쟁, 중공] “6·25 남침은 역사적 사실… 시진핑도 바꿀 수 없는 것” 61
44 [6.25전쟁, 중공] 노석조, "'6·25는 마오쩌둥 지원 받은 남침' 美국무부, 시진핑 발언 공개 반박" 55
43 [6.25전쟁, 중공] 中 “시진핑 연설, 美에 엄중한 경고… 항미원조 영원히 계승” 50
42 6·25 북한인민군은 사실상 중공팔로군이었다 88
41 스탈린 감독, 김일성 주연, 마오쩌둥이 조연한 남침(南侵) 전쟁 87
40 다부동 전투 승리·야전군 창설 韓美동맹까지 일군 위대한 장수 74
39 "김일성이라는 작자는 정치와 전쟁 구별이 안 되는가" 56
38 오늘의 대한민국은 70년 전 비극을 기억하고 있는가 81
37 대통령 비판 대자보에 '건조물 침입' 유죄, 민주국가 아니다 65
36 6.25는 내전(內戰)? 70
35 인민군 치하 서울의 석 달, 그 냉엄한 기록 [1] 228
34 '백선엽 죽이기' 156
33 6.25를 '위대한 항미원조(抗美援朝) 전쟁'이라 했던 시진핑 483
32 대통령들은 6.25를 이렇게 말했다 757
31 북한군 전차 242대 vs 국군 0대 997
30 현대史 전문가 강규형 교수가 들려주는 6․25의 진실 744
29 우리 사회에 만연한 親北․反대한민국 바이러스 863
28 스탈린과 6.25 862
27 흐루시초프의 회고록 1239
26 6․25 전쟁의 '불편한 진실 961
» 6.25는 '자유수호전쟁'이었다 928
24 ‘6․25, 美 도발 때문에 北이 침입’이라 가르치는 선생들 812
23 스탈린․김일성이 한국전쟁 일으켜 1235
22 ‘김일성에 전쟁 책임’--60代 이상 70%, 20代는 42% 1127
21 내 어릴 적 공산 치하 석 달 1372
20 6․25에 관한 '記憶의 전쟁' 1194
19 6.25전쟁의 역사 바로 전해야 1053
18 아는 것과 다른 맥아더의 한국전쟁 1383
17 초등생 1/3이 '6·25는 한국도발'로 알게 한 역사교육 1005
16 6.25 전쟁사진 화형식 1006
15 6.25를 생각한다 1000
14 청소년 51.3%, 6.25가 북한에 의한 남침인 것 몰라 1103
13 김형좌 목사의 6·25 증언 991
12 6·25당시 좌익, 양민 앞세워 관공서 습격 991
11 김일성 6·25작전계획, 소련에서 작성· 보천보전투 조작 사실 재확인 1159
10 美軍 6·25전쟁 때 人命손실 총 6만여 명 1116
9 6.25가 내전(內戰)이라니 1101
8 빨치산, 6.25사변 때 13만 주민 학살 1246
7 강정구교수의 ‘한국전’ 왜곡 939
6 주한 영국 대사의 공개서한 932
5 맥아더 양민학살 주장, 北선전戰 따라가는 꼴 925
4 의리도 모르는 국민이 되지 말자 959
3 ‘맥아더가 양민학살 명령’ 노래 근거있나? 1005
2 운동권, 왜 갑자기 ‘맥아더 동상’을? 881
1 미국의 6·25 참전의 의미 956

주소 : 04072 서울특별시 마포구 독막로 26 (합정동)ㅣ전화 : 02-334-8291 ㅣ팩스 : 02-337-4869ㅣ이메일 : oldfaith@hjdc.net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