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리스트’가 공개되는 날'
2006.11.25 14:32
[김형기, “‘김정일 리스트’가 공개되는 날,” 조선일보, 2006. 11. 14, A35쪽; 논설위원.]
1973년 1월 헨리 키신저와 월맹의 레둑토가 파리에서 베트남전을 끝낸다는 평화협정을 맺었다. 키신저는 협정 대가로 월맹에 40억 달러를 줬다. 월남과는 유사시 즉각 해·공군을 보내 지원한다는 방위조약을 맺었다. 키신저는 이 업적으로 노벨평화상을 받았다. 2년 뒤 월남은 월맹의 전면 공격을 받고 패망했다. 믿었던 미군은 오지 않았다. 월맹이 남침 준비를 하는 동안 월남은 ‘민족·평화·화해·협력·교류’라는 평화협정 5원칙의 환상에 젖어 있었다. 월남을 환상에 빠뜨려 내부에서 무너뜨린 것은 정부, 대학, 재야 단체에 광범하게 침투한 간첩과 동조자들이었다. 그 수는 5만 명에 달했다.
빌리 브란트는 1963년 서베를린 시장 때 동독과 자유 왕래를 허용하는 통과협정으로 유명인사가 됐다. 총리가 되어서는 1970년 대(對)동독 포용정책의 결정판인 ‘동방정책’의 깃발을 올렸다. 이듬해 그도 노벨평화상을 받았다. 그러나 브란트는 3년 뒤 심복이 동독 간첩으로 드러나 총리에서 물러나야 했다. 독일 통일 전까지 암약한 동독 간첩과 정보원은 2만-3만 명으로 추산된다. 의원, 정당 지도부, 대학 총장, 목사, 외교관, 장교, 과학자, 언론인들이 이념에 취하거나 회유·협박에 넘어가 첩자 노릇을 했다. 동독 국적을 몰래 얻어놓은 사람까지 있었다. 동방정책과 더불어 사회 전반에 좌파 이념이 물결친 1970년대를 독일은 ‘붉은 10년’이라고 부른다.
베트남과 독일은 우리처럼 분단국이었고 치열한 체제 경쟁을 벌였다. 간첩전이 벌어진 것은 당연했다. 우리는 500만명을 넘는 사망·실종·부상자를 낸 골육상쟁까지 겪었다. 간첩이 없다면 그게 오히려 비정상이다. 이종석 통일부장관 말마따나 “동맹국 사이에도 간첩은 있는 법”이다. 북한이 간첩을 보내고 협조자를 물색할 때 어디부터 눈독을 들일까. 북 입장에서 생각하면 간단히 답이 나온다. 나라의 모든 정보가 집중되고 핵심 정책이 만들어지는 청와대가 첫번째, 법을 만드는 국회, 무력을 관장하는 군, 여론을 이끄는 지식인 집단과 언론, 선전·선동가가 포진한 시민단체, 대중 파급력이 큰 문화계가 다음 표적일 것이다.
간첩이 서식하는 토양은 적대국에 우호적인 분위기와 느슨한 방첩망이다. 서독에 ‘붉은 10년’이 있다면 우리에겐 ‘주사(主思) 10년’이 있다. 1980년대 중반 이후 학생운동권을 장악했던 김일성 주체사상파는 북에 천만 원군(援軍)과 같다. 주체사상을 운동권에 처음 공급했던 김영환씨는 전성기 때 주사 이념이 확실한 사람만 1만명, 동조자까지 30만명이었다고 했다. 지금도 얼마나 많은 주사파가 친북·반미·자주의 신념을 가슴 깊이 품고 요소 요소에 박혀 있는지 알 수 없다. 주사파 핵심이었던 강길모씨는 “내게 주사파 교육을 받은 운동권 출신들이 현 정권 실세로 있다”며 열린우리당 의원 3명, 전·현직 청와대 인사 4명의 실명을 댔다. 그들 중 누구도 아직까지 “나는 주사파가 아니다”는 말을 하지 않았다.
국정원이 ‘일심회’라는 386간첩단사건을 검찰에 송치했다. 한 사람을 10년씩 내사(內査)한 내용들이 쌓여 있다니 그동안 간첩 하나 잡자고 얼마나 눈치를 봐 왔는지 짐작이 간다. 앞으로 수사가 핵심에 가 닿기도 쉽지 않을 것이다. 진실 규명은 현 정권이 끝나는 1년 4개월 뒤 혹은 더 오랜 세월이 지나서야 가능할지 모른다. 베트남과 독일처럼 휴전선이 무너진 뒤에야 깜짝 놀랄 인물이 북한 간첩이었다는데 경악하게 될지 모른다. 그 때가 되면 작금 남북과 한·미간에 벌어지고 있는 정말 이해할 수 없는 일들의 비밀도 비로소 베일을 벗을 것이다.
1973년 1월 헨리 키신저와 월맹의 레둑토가 파리에서 베트남전을 끝낸다는 평화협정을 맺었다. 키신저는 협정 대가로 월맹에 40억 달러를 줬다. 월남과는 유사시 즉각 해·공군을 보내 지원한다는 방위조약을 맺었다. 키신저는 이 업적으로 노벨평화상을 받았다. 2년 뒤 월남은 월맹의 전면 공격을 받고 패망했다. 믿었던 미군은 오지 않았다. 월맹이 남침 준비를 하는 동안 월남은 ‘민족·평화·화해·협력·교류’라는 평화협정 5원칙의 환상에 젖어 있었다. 월남을 환상에 빠뜨려 내부에서 무너뜨린 것은 정부, 대학, 재야 단체에 광범하게 침투한 간첩과 동조자들이었다. 그 수는 5만 명에 달했다.
빌리 브란트는 1963년 서베를린 시장 때 동독과 자유 왕래를 허용하는 통과협정으로 유명인사가 됐다. 총리가 되어서는 1970년 대(對)동독 포용정책의 결정판인 ‘동방정책’의 깃발을 올렸다. 이듬해 그도 노벨평화상을 받았다. 그러나 브란트는 3년 뒤 심복이 동독 간첩으로 드러나 총리에서 물러나야 했다. 독일 통일 전까지 암약한 동독 간첩과 정보원은 2만-3만 명으로 추산된다. 의원, 정당 지도부, 대학 총장, 목사, 외교관, 장교, 과학자, 언론인들이 이념에 취하거나 회유·협박에 넘어가 첩자 노릇을 했다. 동독 국적을 몰래 얻어놓은 사람까지 있었다. 동방정책과 더불어 사회 전반에 좌파 이념이 물결친 1970년대를 독일은 ‘붉은 10년’이라고 부른다.
베트남과 독일은 우리처럼 분단국이었고 치열한 체제 경쟁을 벌였다. 간첩전이 벌어진 것은 당연했다. 우리는 500만명을 넘는 사망·실종·부상자를 낸 골육상쟁까지 겪었다. 간첩이 없다면 그게 오히려 비정상이다. 이종석 통일부장관 말마따나 “동맹국 사이에도 간첩은 있는 법”이다. 북한이 간첩을 보내고 협조자를 물색할 때 어디부터 눈독을 들일까. 북 입장에서 생각하면 간단히 답이 나온다. 나라의 모든 정보가 집중되고 핵심 정책이 만들어지는 청와대가 첫번째, 법을 만드는 국회, 무력을 관장하는 군, 여론을 이끄는 지식인 집단과 언론, 선전·선동가가 포진한 시민단체, 대중 파급력이 큰 문화계가 다음 표적일 것이다.
간첩이 서식하는 토양은 적대국에 우호적인 분위기와 느슨한 방첩망이다. 서독에 ‘붉은 10년’이 있다면 우리에겐 ‘주사(主思) 10년’이 있다. 1980년대 중반 이후 학생운동권을 장악했던 김일성 주체사상파는 북에 천만 원군(援軍)과 같다. 주체사상을 운동권에 처음 공급했던 김영환씨는 전성기 때 주사 이념이 확실한 사람만 1만명, 동조자까지 30만명이었다고 했다. 지금도 얼마나 많은 주사파가 친북·반미·자주의 신념을 가슴 깊이 품고 요소 요소에 박혀 있는지 알 수 없다. 주사파 핵심이었던 강길모씨는 “내게 주사파 교육을 받은 운동권 출신들이 현 정권 실세로 있다”며 열린우리당 의원 3명, 전·현직 청와대 인사 4명의 실명을 댔다. 그들 중 누구도 아직까지 “나는 주사파가 아니다”는 말을 하지 않았다.
국정원이 ‘일심회’라는 386간첩단사건을 검찰에 송치했다. 한 사람을 10년씩 내사(內査)한 내용들이 쌓여 있다니 그동안 간첩 하나 잡자고 얼마나 눈치를 봐 왔는지 짐작이 간다. 앞으로 수사가 핵심에 가 닿기도 쉽지 않을 것이다. 진실 규명은 현 정권이 끝나는 1년 4개월 뒤 혹은 더 오랜 세월이 지나서야 가능할지 모른다. 베트남과 독일처럼 휴전선이 무너진 뒤에야 깜짝 놀랄 인물이 북한 간첩이었다는데 경악하게 될지 모른다. 그 때가 되면 작금 남북과 한·미간에 벌어지고 있는 정말 이해할 수 없는 일들의 비밀도 비로소 베일을 벗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