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다부동 전투 승리·야전군 창설… 韓美동맹까지 일군 위대한 장수

6·25전쟁과 백선엽


[유광종, "다부동 전투 승리·야전군 창설… 韓美동맹까지 일군 위대한 장수,"  조선일보, 2020. 6. 26, A33쪽.]   → 6.25전쟁

6·25전쟁과 백선엽

한반도의 싸움은 대개 신의주~평양~개성~서울~대전~대구~부산 축선에서 승패가 갈린다. 인구가 밀집하고 물산이 풍부할 뿐 아니라, 교통의 가장 큰 축선이 지나가는 곳이기 때문이다. 6·25전쟁의 큰 싸움도 대부분 여기서 벌어졌다.

느닷없는 남침으로 발발한 전쟁의 가장 큰 축선에 서서 눈부시게 활약한 지휘관은 올해로 100세인 백선엽 예비역 대장이다. 대한민국 생사존망이 걸렸던 낙동강 전선 다부동 전투, 북진 뒤 평양 최초 입성, 중공군과 성공적인 조우전, 중공군 치하 서울 탈환이 중요 전적이다. 이어 기동전 방식 중공군 막바지 공세를 꺾었고, 휴전회담 한국군 첫 대표를 역임한 뒤 지리산 일대에 준동하며 유엔군 보급선을 위협하던 빨치산을 근절했다. 곧 육군참모총장에 올랐고, 최초 대장 진급이라는 기록도 수립했다.

미군도 감탄한 '사단장 돌격'

여기까지 그가 보인 역량은 '장군(將軍)급'에 해당한다. 무명에 가까웠던 평안남도 강서군 출신 한국군 창설 멤버가 전쟁이라는 시공(時空)에서 뭇사람 눈에 처음 두드러진 때다. 그는 1950년 대구 북방 다부동 전선에서 부대가 후퇴하자 그들을 앉히고 "내가 물러서면 나를 쏴라"고 한 뒤 감행한 이른바 '사단장 돌격'으로 전선의 붕괴를 막고 승리를 일궜다.

아울러 그해 9월 15일 인천으로 상륙한 맥아더의 유엔군 병력을 뒤에서 받쳐주기 위한 전선 북상에서도 큰 전공을 세웠다. 낙동강 전선 부대가 뒤를 받치지 못하면 인천 상륙 유엔군 부대는 고립을 면치 못할 뻔했다. 당시 지독한 교착 상태 전선을 12㎞ 북상시켜 북진의 혈로를 뚫은 주역도 백선엽의 1사단이었다.

이어 트럭 1000대를 보유한 미군 1기병사단과 경쟁해 트럭 100대에 불과한 한국군 1사단이 30여 분 먼저 평양에 도착한 기록은 당시 참전한 미군과 유엔군 모두에게 화제로 떠오를 정도였다. 이로써 그는 70년 전 한반도 싸움에서 가장 뛰어난 '야전군 지휘관'의 명성을 얻는다.

1951년 5월 중공군 5차 춘계 공세에서는 강원도 인제군 현리가 뚫렸다. 이때 백선엽은 강릉 주둔 한국군 1군단을 이끌었다. 중공군은 현리 일대를 돌파한 뒤 강릉을 넘보고 있었다. 그는 미8군의 다급한 명령을 받고 대관령으로 접근하던 중공군 병력을 섬멸해 강원도 본격 점령 기도를 꺾었다.

1950년 10월 평양 남쪽 선교리에서 시가지 진입을 앞두고 미 공지(空地) 연락 장교와 작전을 숙의 중인 백선엽 장군.
평양 시가지 진입 앞두고 - 1950년 10월 평양 남쪽 선교리에서 시가지 진입을 앞두고 미 공지(空地) 연락 장교와 작전을 숙의 중인 백선엽 장군. /백선엽 장군 제공

전투를 지켜봤던 미8군 밴 플리트 사령관에 의해 백선엽은 한국군 최초 휴전회담 대표로 참석했고, 이어 호남선과 경부선 보급로까지 위협하던 지리산 일대 빨치산 토벌 지휘관을 맡아 1951년 11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작전을 성공리에 마무리했다. 이어 미 8군의 전폭적 지원에 힘입어 1950년 11월 와해됐던 국군 2군단을 재건한다. 최첨단 155㎜ 야포로 중무장한 현대적 포병 전력을 모두 지닌 부대였다.

'장군' 아닌 '장수'로서의 활약

그가 이룬 전반기 전적의 의미는 이렇다. 다부동 전투에서는 동유럽을 비롯해 전 세계로 확산일로에 있던 공산주의 진영 기세를 결정적으로 막아섰다. 인천상륙작전으로 전황이 대전환하는 길목에서 그의 부대는 낙동강 전선 북상을 통해 북한의 기세를 꺾고 유엔군이 북진할 수 있는 전세를 확고히 했다.

2군단 재창설은 이후 한국군의 발 빠른 성장세를 가능케 한 토대 구축 작업에 해당했다. 이로부터 새 포병 병력을 비롯한 한국군 고위 지휘관의 미국 유학이 본격적으로 이뤄진다. 지리산 일대 빨치산 토벌은 후방의 잠재적 위협을 제거함으로써 아군 전력을 적의 전면에 모두 집중케 하는 성과로 이어졌다.

이 같은 전적은 장교와 병사를 거느리고 전선을 누볐다는 점에서 '장군급' 지휘관의 능력이다. 이후 그가 발휘하는 재능과 품격은 다른 차원이다. 전쟁을 큰 차원에서 통어(統御)하는 '장수(將帥)급' 지휘관으로서의 능력이다. 그는 1952년 7월 육군참모총장에 오른 뒤 이듬해 1월 한국군 최초 대장으로 승진한다. 이 무렵 전선 각 고지에서 벌어지는 중공군과 북한군 대상의 격렬하며 참혹했던 고지전을 이끌면서 동시에 지속적인 한국군 현대화 작업에 나선다. 1953년 7월 27일 휴전 조인 뒤에 그는 한국군 육군참모총장에서 '강등'당한다. 미8군 사령관 맥스웰 테일러 대장의 권유였고, 그의 자발적인 승낙이기도 했다. 그는 직급이 낮지만 실제 의미가 아주 큰 '제1야전군' 창설과 지휘를 맡는다.

동양 최초 '야전군' 창설

휘하 병력 40만 명으로 경기도 의정부 일대 미군 방어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휴전선을 모두 방어하는 대부대였다. 동양 최초 야전군이었고, 보유한 병력과 무기·장비로 어떠한 형태의 단독 작전이든 수행이 가능했다. 이 야전군 창설은 당시 한반도에 미군이 이끌고 온 모든 무기 체계를 우리 한국군이 승계한다는 의미였다. 당시 미군은 자신의 무기와 장비를 함부로 한국에 넘기지 않으려고 했다. 면밀하게 상대를 파악한 뒤 믿음이 생겼을 때에야 비로소 가능한 일이었다.

1951년 3월 서울을 탈환한 국군 1사단 사령부로 도쿄 유엔군 맥아더 총사령관이 예고 없이 방문해 백선엽 사단장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맥아더 총사령관과 함께 - 1951년 3월 서울을 탈환한 국군 1사단 사령부로 도쿄 유엔군 맥아더 총사령관이 예고 없이 방문해 백선엽 사단장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백선엽 장군 제공

당시 백선엽은 이승만 정부와 미 행정부 사이 갈등 한복판에 있었다. 그럼에도 이승만 대통령의 '국군 단독 북진에 의한 통일' 염원을 잊지 않되, 그 가능성을 현실 토대에서 조율했다. '반공 포로 전격 석방'을 감행, 미국과 갈등 관계에 진입한 이 대통령에 대한 미군의 의심과 견제에도 맞서야 했다.

그는 1953년 5월 미군 초청으로 미국을 방문하는 여정에서 당시 대통령 아이젠하워에게 단독 면담을 요청해 "전후 미군 철수 뒤 한미 상호 방위 조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고, 아이젠하워로부터 "원칙적으로 동의한다. 이승만 대통령에게 전해도 좋다"는 언급을 받아낸다.

백선엽은 1954년 2월부터 3년 3개월에 걸쳐 제1야전군을 이끌었다. 소총과 105㎜ 야포 등으로 무늬만 갖췄던 전전(戰前) 10개 사단 한국군이 155㎜ 야포와 핵 투사 능력까지 있는 8인치 곡사포 등 현대전 장비를 모두 지닌 20개 사단의 정예 군대로 자리를 잡는 계기였다.

정치와는 거리를 두다

백선엽은 함부로 의중을 내비치지 않으며 오래 인내하는 능력이 있다. 남을 누르는 힘보다 상대를 설득하고 포용하는 역량이 강하다. 싸움터에서 드러내는 '장군'의 맹렬함을 넘어서는 노련함과 인내·끈기, 아울러 상대 힘을 내 힘으로 전환해 국면을 새롭게 바꾸는 능력이다.

36세 때인 1956년 제1야전군 사령관을 이끌다가 이승만 대통령 부름을 받는다. "자네, 내무 장관 맡아보게." 당시 내무 장관은 군수와 도지사, 경찰 등을 모두 관할하는 자리였다. 그러나 그는 "생각할 시간을 달라"고 했다. 3일 뒤 다시 호출받아 간 경무대에서 그는 대통령에게 "아무래도 군복을 입고 평생을 마쳐야 좋겠다"고 했다. 그 이후로도 정치와는 거리를 두고 살았다. 자신이 목숨을 구해 준 박정희 대통령 시절에는 교통부 장관으로 1년 3개월 일했고, 다시 9년 동안 한국 화학공업을 이끌었다. 서울 지하철 1호선 건설을 시작했고, 한국 석유화학 종합단지 14개를 만들었다. 그의 세속적 신앙은 '대한민국의 부국과 강병'이었다.

늘 떠나지 못했던 전쟁터

그는 '장군'이면서 '장수'였던 사람이다. 전쟁에서 적을 막고, 전후에는 미군과 끈질긴 교섭으로 대한민국 안보의 기틀을 다진 그는 어쩌면 '최고의 승부사'라는 지칭이 더 어울린다.

아울러 그는 '영원한 군인'이었다. 90세를 넘겨서도 그는 늘 악몽을 꿨다. 적에게 밀리다가 다급하게 소리를 지르며 깨는 꿈이 많았다. 아울러 1960년 이후 10년 동안 해외 주재 대사 시절에도 늘 외국 전쟁터를 버릇처럼 다니곤 했다. 노르망디와 이웃 독일 라인 강변, 브뤼셀 인근 워털루 전쟁터가 프랑스 대사 시절 '단골' 방문지였다. 그는 스스로 영웅이라고 여길까. 백선엽은 "그렇지 않다"면서 "내가 가리키는 방향을 따라 용감하게 나아가 전투를 치르다 숨지거나 다친 장병들이 진짜 영웅"이라고 늘 말하곤 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6/26/2020062600025.html


번호 제목 조회 수
52 [6.25] 6·25, 기억의 고지 사수해야 5
51 [백선엽 장군] 사설: 나라 살린 다부동 승전, 73년 만에 세워진 백선엽 장군 동상 16
50 [6.25] 어느 노병의 마지막 소원 20
49 [6.25전쟁] 6·25전쟁이 남긴 ‘자유의 의무’ 20
48 [6.25] 사후 2년 만에 제대로 모신 ‘6·25 영웅’ 백선엽 장군 22
47 [6.25전쟁, 인천상륙작전] '0.02%' 확률 뚫고 성공…전쟁 흐름 바꾼 세기의 전투였죠 235
46 [6.25전쟁, 중공] 김은중, "중국 대사를 당장 초치하라" 79
45 [6.25전쟁, 중공] “6·25 남침은 역사적 사실… 시진핑도 바꿀 수 없는 것” 61
44 [6.25전쟁, 중공] 노석조, "'6·25는 마오쩌둥 지원 받은 남침' 美국무부, 시진핑 발언 공개 반박" 55
43 [6.25전쟁, 중공] 中 “시진핑 연설, 美에 엄중한 경고… 항미원조 영원히 계승” 50
42 6·25 북한인민군은 사실상 중공팔로군이었다 88
41 스탈린 감독, 김일성 주연, 마오쩌둥이 조연한 남침(南侵) 전쟁 87
» 다부동 전투 승리·야전군 창설 韓美동맹까지 일군 위대한 장수 73
39 "김일성이라는 작자는 정치와 전쟁 구별이 안 되는가" 56
38 오늘의 대한민국은 70년 전 비극을 기억하고 있는가 81
37 대통령 비판 대자보에 '건조물 침입' 유죄, 민주국가 아니다 65
36 6.25는 내전(內戰)? 70
35 인민군 치하 서울의 석 달, 그 냉엄한 기록 [1] 228
34 '백선엽 죽이기' 156
33 6.25를 '위대한 항미원조(抗美援朝) 전쟁'이라 했던 시진핑 483
32 대통령들은 6.25를 이렇게 말했다 757
31 북한군 전차 242대 vs 국군 0대 996
30 현대史 전문가 강규형 교수가 들려주는 6․25의 진실 744
29 우리 사회에 만연한 親北․反대한민국 바이러스 863
28 스탈린과 6.25 862
27 흐루시초프의 회고록 1239
26 6․25 전쟁의 '불편한 진실 960
25 6.25는 '자유수호전쟁'이었다 928
24 ‘6․25, 美 도발 때문에 北이 침입’이라 가르치는 선생들 812
23 스탈린․김일성이 한국전쟁 일으켜 1235
22 ‘김일성에 전쟁 책임’--60代 이상 70%, 20代는 42% 1127
21 내 어릴 적 공산 치하 석 달 1372
20 6․25에 관한 '記憶의 전쟁' 1194
19 6.25전쟁의 역사 바로 전해야 1053
18 아는 것과 다른 맥아더의 한국전쟁 1383
17 초등생 1/3이 '6·25는 한국도발'로 알게 한 역사교육 1005
16 6.25 전쟁사진 화형식 1006
15 6.25를 생각한다 1000
14 청소년 51.3%, 6.25가 북한에 의한 남침인 것 몰라 1103
13 김형좌 목사의 6·25 증언 991
12 6·25당시 좌익, 양민 앞세워 관공서 습격 991
11 김일성 6·25작전계획, 소련에서 작성· 보천보전투 조작 사실 재확인 1159
10 美軍 6·25전쟁 때 人命손실 총 6만여 명 1116
9 6.25가 내전(內戰)이라니 1101
8 빨치산, 6.25사변 때 13만 주민 학살 1245
7 강정구교수의 ‘한국전’ 왜곡 939
6 주한 영국 대사의 공개서한 932
5 맥아더 양민학살 주장, 北선전戰 따라가는 꼴 925
4 의리도 모르는 국민이 되지 말자 959
3 ‘맥아더가 양민학살 명령’ 노래 근거있나? 1005
2 운동권, 왜 갑자기 ‘맥아더 동상’을? 880
1 미국의 6·25 참전의 의미 956

주소 : 04072 서울특별시 마포구 독막로 26 (합정동)ㅣ전화 : 02-334-8291 ㅣ팩스 : 02-337-4869ㅣ이메일 : oldfaith@hjdc.net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