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은 전 외교·안보장관의 전작권 걱정에 답해야
2006.10.13 17:09
[사설: “與黨은 前 외교·안보장관의 戰作權 걱정에 답해야,” 조선일보, 2006. 9. 7, A31쪽.]
열린우리당 우상호 대변인은 5일 “현 정부에서 고위 공직을 했던 분들이 야인(野人)이 된 뒤 무분별하게 정부를 비판해 공직사회의 기강을 흔드는 것은 도덕적으로 용납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현 정부에서 일했던 윤영관 전 외교장관과 한승주 전 주미대사가 정권의 ‘자주외교’를, 조영길 전 국방장관과 김희상 전 청와대 국방보좌관이 정권이 무리하게 전시작전통제권 단독 행사를 밀고 나가는 것을 우려한 것을 두고 한 소리다. 그러나 지금 집권당이 당장 해야 할 일은 이들이 나라의 존망을 걱정하며 내놓은 물음들에 대해 먼저 해답을 내놓는 것이다.
우선 전작권이 이 정권 주장대로 ‘자주’ 문제냐는 것이다. 김희상씨는 “한반도에서 전쟁이 일어나도 인사권을 비롯한 대부분의 권한은 한국 대통령에게 있고 단지 작전에 관한 통제권만을 한국·미국 대통령의 공동부하인 연합사령관이 행사한다. (작통권을 주권 문제로 보는 것은) 오해다”고 했다. 그는 “전작권 단독행사로 통합·신속·효율성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한미연합사가 해체되면 한·미 동맹의 상징성이 파괴되고 한반도의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다”고도 했다. 윤영관씨가 지난 7월 한 강연에서 “우리가 강대국과의 관계를 활용해 우리의 국가와 민족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면 그것은 적극적 의미에서 자주를 달성한 것으로 봐야 한다”고 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열린우리당은 이 지적들을 어떻게 반박할 것인가.
한·미 전작권 공동행사 구조가 깨진 뒤 한반도의 군사충돌은 무엇으로 막을 것이냐는 문제도 있다. 조영길씨는 한·미의 전작권 공동행사는 한국이 미국의 일방적인 대북 군사조치에 제동을 걸 수 있는 장치라고 강조하면서 1994년 북한 핵 위기 때 ‘전작권의 공동행사자’인 우리가 미국의 대북 군사제재 움직임을 막은 일을 소개했다. 그는 “지금은 북핵 문제가 94년보다 심각한데 연합 전시작전통제권이 해체된 뒤 미국이 북한을 공격하면 한국은 (이 정권의) 그 유명한 균형자론으로 전쟁을 중재하고 나설 것이냐”고 물었다. 열린우리당은 이 물음에도 대답을 내놓아야 한다.
우리가 전작권을 단독행사한 뒤에도 유사시 미국의 대한 군사지원이 지금과 같을 것인가도 쟁점이다. 김희상씨는 “전작권을 우리가 단독행사해 한미연합사가 해체되면 주한 미 지상군 등의 추가 감축이 이뤄질 수 있다”고 했다. 조영길씨도 “전작권 공동행사가 해체돼도 한·미안보조약이 남아 있어 유사시에는 미군 증원군이 즉각 한반도에 뛰어들어 피를 흘려줄 것이라는 사람들은 참으로 알 수 없는 사람들”이라고 했다. 열린우리당은 자기 정권에서 외교 안보의 중책을 맡았던 인사들의 이런 걱정과 물음에 먼저 대답해야 한다.
열린우리당 우상호 대변인은 5일 “현 정부에서 고위 공직을 했던 분들이 야인(野人)이 된 뒤 무분별하게 정부를 비판해 공직사회의 기강을 흔드는 것은 도덕적으로 용납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현 정부에서 일했던 윤영관 전 외교장관과 한승주 전 주미대사가 정권의 ‘자주외교’를, 조영길 전 국방장관과 김희상 전 청와대 국방보좌관이 정권이 무리하게 전시작전통제권 단독 행사를 밀고 나가는 것을 우려한 것을 두고 한 소리다. 그러나 지금 집권당이 당장 해야 할 일은 이들이 나라의 존망을 걱정하며 내놓은 물음들에 대해 먼저 해답을 내놓는 것이다.
우선 전작권이 이 정권 주장대로 ‘자주’ 문제냐는 것이다. 김희상씨는 “한반도에서 전쟁이 일어나도 인사권을 비롯한 대부분의 권한은 한국 대통령에게 있고 단지 작전에 관한 통제권만을 한국·미국 대통령의 공동부하인 연합사령관이 행사한다. (작통권을 주권 문제로 보는 것은) 오해다”고 했다. 그는 “전작권 단독행사로 통합·신속·효율성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한미연합사가 해체되면 한·미 동맹의 상징성이 파괴되고 한반도의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다”고도 했다. 윤영관씨가 지난 7월 한 강연에서 “우리가 강대국과의 관계를 활용해 우리의 국가와 민족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면 그것은 적극적 의미에서 자주를 달성한 것으로 봐야 한다”고 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열린우리당은 이 지적들을 어떻게 반박할 것인가.
한·미 전작권 공동행사 구조가 깨진 뒤 한반도의 군사충돌은 무엇으로 막을 것이냐는 문제도 있다. 조영길씨는 한·미의 전작권 공동행사는 한국이 미국의 일방적인 대북 군사조치에 제동을 걸 수 있는 장치라고 강조하면서 1994년 북한 핵 위기 때 ‘전작권의 공동행사자’인 우리가 미국의 대북 군사제재 움직임을 막은 일을 소개했다. 그는 “지금은 북핵 문제가 94년보다 심각한데 연합 전시작전통제권이 해체된 뒤 미국이 북한을 공격하면 한국은 (이 정권의) 그 유명한 균형자론으로 전쟁을 중재하고 나설 것이냐”고 물었다. 열린우리당은 이 물음에도 대답을 내놓아야 한다.
우리가 전작권을 단독행사한 뒤에도 유사시 미국의 대한 군사지원이 지금과 같을 것인가도 쟁점이다. 김희상씨는 “전작권을 우리가 단독행사해 한미연합사가 해체되면 주한 미 지상군 등의 추가 감축이 이뤄질 수 있다”고 했다. 조영길씨도 “전작권 공동행사가 해체돼도 한·미안보조약이 남아 있어 유사시에는 미군 증원군이 즉각 한반도에 뛰어들어 피를 흘려줄 것이라는 사람들은 참으로 알 수 없는 사람들”이라고 했다. 열린우리당은 자기 정권에서 외교 안보의 중책을 맡았던 인사들의 이런 걱정과 물음에 먼저 대답해야 한다.
댓글 0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33 | 한반도 안보 흔들려고 전작권 조기 환수 주장하는가 | 217 |
32 | 전작권 전환 재협상의 당위성 | 1011 |
31 | 대통령은 혹세무민 말고 군에 사과하라 | 1052 |
30 | 북한군 출신 탈북자들, “작통권 환수 반대” | 994 |
29 | 작통권 이양으로 사령부 나눠지면 위험 | 977 |
28 | 하나부터 열까지 거짓말이었던 ‘전작권 설명’ | 988 |
27 | 열우당 의원 20명, “작통권-북핵 연계해야” | 987 |
26 | 한국만 작통권없다는 말은 거짓말--잘못 조언한 참모 처벌해야 | 1133 |
25 | 전시 작통권 한국 이양, 김정일의 50년 숙원 사업 | 1005 |
» | 여당은 전 외교·안보장관의 전작권 걱정에 답해야 | 977 |
23 | 전작권 놓고 거짓말에 거짓말을 보태는 청와대 | 939 |
22 | 제2차 ‘한반도 전쟁’ 가능성 잇따라 제기 | 1226 |
21 | 사상 초유 전직 외교관 성명 | 1266 |
20 | 전작권, 대통령이 맺은 매듭 대통령이 풀어야 | 1052 |
19 | 국민저항권 부르는 행위 즉각 중단하라 | 1438 |
18 | 역대 국방장관단 성명서 | 1172 |
17 | 대한민국 예비역 장교 모두가 일어섰다 | 935 |
16 | 안보전문가들 ‘千 前장관 발언 공감’ | 1014 |
15 | 美 작통권 없다면 전쟁 때 개입 안할 수도 | 1073 |
14 | 전시작통권 단독행사는 바보짓 | 918 |
13 | ‘전시작전권’ 환수, 아직 때가 아니다 | 1050 |
12 | 리차드 할로란 군사전문기자의 발언 | 1112 |
11 | 90년대초와 지금은 상황이 다르다 | 1049 |
10 | 핵·미사일커녕 장거리포 막기도 벅차 | 997 |
9 | 벡톨 미해병대 참모대학 교수의 발언 | 1087 |
8 | 스콧 스나이더 선임연구원과의 인터뷰 | 892 |
7 | 이상훈 전 국방장관의 견해 | 1073 |
6 | 전직 국방장관들의 견해 | 1062 |
5 | 전쟁위험 높이는 작통권 환수 | 1009 |
4 | 노정권 ‘작통권환수,’ 국보법폐지 만큼 심각 | 1056 |
3 | 대통령의 자주론(自主論) | 978 |
2 | ‘전시작전권 환수’ | 1057 |
1 | ‘작통권 환수’ 논란의 핵심은 ‘연합사 해체’ | 97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