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루스벨트 대통령이 처칠경(卿)에게 지난 전쟁을 어떻게 부를 수 있겠느냐고 의견을 물었다. 처칠은 즉시 "불필요한 전쟁(the Unnecessary War)"이라고 대답했다. 무려 5500만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인류 역사상 최악의 재앙(災殃)이 아니었던가. 그런데 처칠은 그 엄청난 비극은 사실 쉽게 예방할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
히틀러의 전쟁 도발을 막지 못한 데에는 잘못된 판단을 내린 당시 정치가들의 책임이 크다. 히틀러가 체코의 주데텐란트를 요구했을 때 각국 지도자들은 히틀러가 내심 더 큰 야욕을 품고 있을지 모른다는 합리적 의심을 했어야 한다. 그러나 영국 수상 체임벌린은 주데덴란트만 양보하면 히틀러가 더 이상의 침략을 포기할 테고, 따라서 평화를 지킬 수 있으리라고 판단했다.
그는 프랑스 수상 달라디에와 이탈리아 총리 무솔리니와 함께 히틀러를 만나 주데텐란트를 독일에 넘겨주는 결정을 내렸다. 곧이어 뮌헨에 있는 히틀러의 사저(私邸)로 찾아가 담판을 벌였다. 영국과 독일이 전쟁에 돌입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선언문을 제시하자 히틀러는 아무런 이의(異議) 없이 서명했다.
헤스턴공항에 도착한 체임벌린은 환영 나온 사람들에게 히틀러의 서명(署名)을 받은 공동 성명서를 흔들어 보이고 읽어주었다. 공항을 빠져나가는 자동차 안에서 외무부 장관 핼리팩스에게는 "모든 문제는 3개월 이내에 해결될 것이오" 하고 자신 있게 말했다. 다우닝가에 있는 수상 관저의 창가에서 다시 문제의 종잇장을 흔들어 보이며 "이것이야말로 우리 시대의 평화가 아니고 무엇이겠습니까?" 하고 말했다.
체임벌린은 '평화의 시대'가 도래했다고 말했지만, 오히려 그때부터 독재국가들은 급속히 재무장(再武裝)을 시도했다. 그때까지도 독일은 프랑스와 전쟁이 벌어졌을 때 전선을 돌파할 전차 군단을 보유하지 못했지만, 뮌헨 협정을 통해 여유 시간을 얻자 대규모 전차 생산에 돌입했다.
히틀러의 본색이 드러나는 데에는 그리 오랜 시간이 필요하지 않았다. 조만간 히틀러는 체코슬로바키아 정부에 최후통첩을 보냈고, 저항할 힘을 상실한 이 나라를 기습 공격하여 손아귀에 넣었다. 이 놀라운 사태를 겪고도 체임벌린은 영국 하원에서 "세계 모든 사람의 염원은 여전히 평화에 집중되어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고 연설했다.
그가 꿈에서 깨는 데에 하루가 걸렸다. 다음 날 체임벌린은 뮌헨 협정의 신뢰를 깬 히틀러가 그동안 '이것이 마지막 요구다' '체코에는 관심이 없다'는 거짓말을 해왔다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그렇다면 체임벌린은 여태 그런 것을 몰랐단 말인가? 결국 전쟁이 벌어지고 세계는 불지옥으로 변했다. 체임벌린이 고결(高潔)한 평화의 이상을 지키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인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오히려 그런 순진한 이상 때문에 히틀러에게 속았고, 또 자기 자신을 기만하고 말았다.
현재의 한반도 상황으로 돌아와 보자. 불과 얼마 전까지 우리는 북한이 원자탄과 수소탄 그리고 대륙간탄도미사일을 완성해 가는 과정을 지켜보았다. '무자비한 핵 선제타격'으로 서울을 불바다로 만들겠다고 위협하던 것이 그리 오래전 일이 아니다. 그러던 북한 당국이 돌연 평창올림픽의 성공을 기원한다면서 최대 규모의 응원단, 공연단과 선수들을 보내겠다고 결정했다.
핵무기 개발이 국제사회의 제재를 불러왔고, 그로 인해 북한이 감당하기 어려운 경제난에 빠지게 되었으리라는 것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자칫 핵을 부여잡고 굶어 죽는 지경에 도달할 수도 있다. 이 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방책으로 남북 관계 개선을 선택했을 것이다. 사실 우리로서도 계속 가공할 핵전쟁 위험을 떠안느니 대화를 통해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이 백번 좋은 일이다. 쉽게 막을 수도 있는 '불필요한 전쟁'으로 민족이 공멸(共滅)하는 사태가 일어나서는 안 된다.
그렇지만 평화는 말로 얻는 것도 아니고 종잇장에 불과한 조약으로 확보되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그런 위장 평화가 진정 위험한 덫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북핵 문제의 해결 없이는 그 어떤 것도 무의미하다. '죽느냐 사느냐' 하는 생존 문제이기 때문이다. 빙판(氷板)에서 벌어지는 평화의 축제에 너무 눈이 팔려 우리가 스스로를 기만해서는 안 된다. 지금 필요한 것은 '강력한 압박을 통한' 대화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