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사님 최근 장로교 내에서 뜨거운 감자인 회심준비론이 궁금합니다.
2023.07.27 09:51
목사님 안녕하세요 홈페이지에 오랜만에 들려봅니다. 궁금한게 있어서요. 질문드릴곳이 이곳밖에 없어 질문드립니다.
현재 장로교 내에서 일명 "회심 준비론"이란 것으로 많이 시끄러운듯합니다.
"능,수동"문제는 웨민에서 "완전한 순종"이란 단어로 어느정도 일단락 된것 같은데..
이 회심준비라는 단어는 웨민신조에서는 전적부패로 "전적 타락한 인간은 회심을 준비할 수도 없다고 했는데.."
왜 이러한 주장을 웨민신조를 표준문서로 받아들이고 있는 장로교 안에서
가르쳤다는 이유로 주장하고 있는 것인지 궁금해서 올려봅니다.
1.이 준비 교리도 능.수동 교리처럼 어떤 다른 용어와 같은 표현으로 쓰이고 있는 것인가요?
좀 자세히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2.제가 여러군데 찾아보니 이 교리가 뉴잉글랜드의 회중파의 교리라고 하던데.
정말 이 교리가 회중파에서 나온 교리인가요?
3.이 교리가 회중파에서 나온 교리가 맞다고 한다면 장로교인 우리는 다른 가르침이 있는데
거부해야 하지 않을까요??
자세하고 쉽게 가르쳐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댓글 3
-
관리자
2023.08.03 20:55
-
shepherd
2023.08.08 17:37
답변 감사합니다.
근데 재 질문드리고 싶어서요
1번에 답변주신 것처럼 회심은 중생한 사람이 율법과 복음을 통해 자신이 죄인인 것을 아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준비론을 말씀하시는 분들은 중생이전 예비은혜를 말씀하시면서 율법을 통해 자신의 죄를 깨달을 수 있다라고 하셔서 질문드리는 겁니다.
이게 맞는 건지...
그리고
2번에서 목사님 회중파와 장로파의 차이는 교회 운영상의 문제이고 신학 사상의 문제, 교리는 차이가 없다고 하셨는데요. 장로파와 회중파와
차이가 없다고 하면 왜 굳윈이 따로 나가서 "사보이 선언"이라는 새로운 신앙고백서를 만들었을까요
그리고 회중교회가 뉴잉글랜드에서 회중파가 꽃을 피었다고 알고 있습니다.
회중파의 꽃은 언약신학으로 알고 있구요. 이 부분이 장로파와 다르다고 알고 있는데..
어떤 부분이 개혁신학이라는 거지요? 질문의 범위가 넓어져서 죄송합니다.
-
관리자
2023.08.08 19:55
1. 회심(conversion)은 회개와 믿음을 포함하여 말하는 용어이고 이것은 성령의 중생케 하시는 활동의 결과로 사람의 의식 세계에서 나타나는 일이라고 봅니다. 회개는 죄의 깨달음과 미워함과 죄를 청산함을 포함하는데, 이 모든 것이 하나님의 은혜이며 성령의 활동입니다. 주께서 8복의 처음 네 가지 복에서 말씀하신 심령의 가난함, (죄를) 애통함, 온유함, 의에 갈하고 사모함 등은 회개와 믿음을 위한 준비 단계이며 이것들도 다 성령의 활동이라고 봅니다. 물론, 성령께서는 일반적으로 율법을 통해 우리의 죄를 깨닫게 하십니다. 2. 제가 사보이 선언이나 존 오웬이나 토마스 굿윈 등의 사상을 잘 알지 못합니다만, 그들은 다 교회의 체제에 관한 견해 외에는 신학사상에 있어서 개혁신학을 취하는 자들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제가 구글 검색을 해보니까, 위키 백과에도 그렇게 설명하고 있군요. "[사보이 선언의] 내용은 기본적으로 칼빈주의 원리의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과 동일하지만 각개 교회의 독립을 주장하는 회중교회주의의 입장을 취하고있다. 1658년 9월 29 일부터 10월 12일까지 120 회중 교회에서 200명의 대표가 영국의 사보이 궁전에 모여 6명이 선언 경쟁 위원에 선정됐다. 6명 중 5명은 웨스트민스터 신학자 회의 멤버였다. 사보이 신앙고백은 존 오언과 토머스 굿윈의 주도적 역할로 작성되었는데 서문·신앙고백·규율강령 등 3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 . . "
1. '회심 준비'라는 용어의 뜻이 혼동을 주는 것 같습니다. 회심은 회개와 믿음을 통틀어 하는 용어인데, 중생하지 못한 사람이 회심을 스스로 준비한다는 것은 성경적이지 않고 개혁신학적이지 않습니다. 그러나 개혁신학자들도 회심 준비라는 표현을 하기도 하는데, 그것은 하나님의 은혜로 그런 준비의 단계가 있다는 뜻일 뿐이며 자기 스스로 준비한다는 뜻이 아닙니다. 2. 회중파와 장로파의 차이는 교회 운영상의 문제이며 신학사상의 문제, 특히 개혁신학과 알미니안신학의 차이의 문제는 아닙니다. 조나단 에드워즈나 존 오웬 같은 인물들은 신학사상에 있어서는 개혁신학을 가지고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