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좌파정권, 나라는 거덜내도 내 냉장고는 꽉꽉 채워준다"

[포퓰리즘에 무너지는 나라] [2] 아르헨티나 최형석 기자 르포
아르헨티나 정부 "실업수당 2배 올리겠다" 발표하자 노조 환호
국민 1000만명이 무상보조금에 의존… "지원 없으면 굶어죽어"


[최형석, "좌파정권, 나라는 거덜내도 내 냉장고는 꽉꽉 채워준다," 조선일보, 2020. 2. 14, A3쪽.]   → 좌파독재

국가부도 몰린 아르헨티나… 노조는 좌파 대통령 취임 축하행진 - 20세기 초 세계 10대 경제 강국이었던 아르헨티나는 1958년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22차례 IMF(국제통화기금) 구제 금융을 받은 ‘상습 부도 국가’로 추락했다. 1940년대부터 노조와 정치인들이 영합한 ‘노조 포퓰리즘’이 나라 경제를 망쳐놓은 것이다. 사진은 작년 12월 도로를 점거한 채 좌파 대통령 취임을 축하하는 아르헨티나 노조. /부에노스아이레스(아르헨티나)=최형석 기자
국가부도 몰린 아르헨티나… 노조는 좌파 대통령 취임 축하행진 - 20세기 초 세계 10대 경제 강국이었던 아르헨티나는 1958년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22차례 IMF(국제통화기금) 구제 금융을 받은 ‘상습 부도 국가’로 추락했다. 1940년대부터 노조와 정치인들이 영합한 ‘노조 포퓰리즘’이 나라 경제를 망쳐놓은 것이다. 사진은 작년 12월 도로를 점거한 채 좌파 대통령 취임을 축하하는 아르헨티나 노조. /부에노스아이레스(아르헨티나)=최형석 기자
"좌파 정권은 국가야 어찌 됐건 간에 내 냉장고는 꽉꽉 채워줍니다. 신임 좌파 대통령에게 기대가 커요."

작년 12월 10일 알베르토 페르난데스 대통령 취임식이 열린 아르헨티나의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 5월 광장에서 만난 철강 노조원 카를로스씨의 얼굴은 상기돼 있었다. 평일 오후임에도 그처럼 전국에서 몰려든 지지자가 수십만 명에 달했다. 노조원이 주축이다. 노조 깃발이 광장을 덮었고, 폭죽과 북소리가 도심을 점령했다. 경찰은 보이지 않았다. 상점들도 모두 철제 셔터를 내리고 휴업했다. 끊임없는 전세버스 행렬이 지방에서 노조원들을 실어날랐다. 이날 알베르토 대통령은 그들을 향해 "실업수당을 2배로 올리겠다"고 선언했다. 지지자들은 자정까지 광장에서 자축연을 벌였다. 거리에서 만난 한 시민은 "앞날이 캄캄하다"고 했다.

아르헨티나는 팜파스 대평원을 기반으로 한 농축산업의 발달에 힘입어 1930년대까지 세계 10위의 경제 대국(1인당 총생산 기준) 지위를 누렸다. '남미의 진주'로 불리며, 가난한 유럽 이민자들에게 꿈의 나라로 여겨졌다. 그러나 작년 1인당 생산은 71위로 떨어졌다. 학계에선 이런 극적인 반전을 '아르헨티나의 역설(Argentine paradox)'로 부르며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국민 35%가 배곯는 국가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차로 30분 떨어진 남쪽의 빈민가. 너덧 살 정도 된 아이 3명이 가축 분뇨와 쓰레기가 둥둥 떠 있는 흙탕물 웅덩이에서 놀고 있었다. 그 옆에는 돼지와 당나귀들이 먹이를 찾아 쓰레기 더미를 헤집고 있었다. 상하수도 시설이 없어 마을 전체에 악취가 진동했다. 건장한 청년들은 평일 낮인데도 할 일 없이 삼삼오오 모여 앉아 있었다. 동네 안쪽은 마약과 강도의 온상이라 접근조차 불가능했다. 300여 주민은 정부 보조금으로 생활비의 80%를 해결하고 나머지는 폐지를 팔아 메운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아르헨티나에서 하루 수입이 1.9달러(약 2200원) 미만인 극빈층 비율은 7%(315만명)다. 국민 중간 소득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가구를 뜻하는 빈곤율은 작년 6월 말 35%를 기록했다. 이는 국민 중 1600여만명이 병원비나 전기료도 못 내며 궁핍하게 지낸다는 말이다. 경제가 이러니 정부로부터 무상 보조금을 받는 인원은 1985년 50만명에서 2005년 600만명, 현재는 1000만명으로 늘었다. 국민 4명 중 1명꼴로 무상 보조금에 의존하고 있다. 이미 7남매를 낳았고 그중 15세 딸이 다시 자식을 낳아 할머니가 된 서른두 살 실비나 살룬케씨는 "정부 보조금이 없으면 당장 굶어 죽을 것"이라고 말했다.

보조금 재원은 세금을 올려 뽑아내고 있다. 정부는 올해부터 해외 사용 카드액의 35%를 세금으로 걷겠다고 발표했다. 부에노스아이레스대 정치학과의 루이스 토네이 교수는 "정부가 노조와 영합한 포퓰리즘을 펼치는 동안 빈곤이 더욱 심화돼 통제 불가능한 지경이 됐다"고 진단했다.

◇화폐를 못 믿어 물물교환

급전직하한 아르헨티나 경제 그래프

부에노스아이레스 서쪽에 위치한 위성도시 산후스토의 광장에선 주민 20여명이 좌판을 깔고 설탕·옷·주방 세제 등을 흥정하고 있었다. 5년 전부터 생기기 시작한 이런 물물교환 시장은 부에노스아이레스 인근에만 적어도 50여곳이 성행 중인 것으로 추정된다. 가브리엘라씨는 식량을 구하기 위해 장난감과 주방 세제를 들고 나왔다. 그는 "물가 급등으로 돈으로는 생필품을 살 수 없어 물물교환을 한다"며 "주말 오후엔 300~400명이 모여 광장이 꽉 찬다"고 말했다.

아르헨티나는 화폐 가치가 폭락하고 물가가 치솟는 국가 비상사태를 맞고 있다. 긴축 정책을 실시하던 우파 정부가 물러나고 작년 말 좌파 정부가 들어서자 해외 투자자들이 아르헨티나에서 일제히 철수했기 때문이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아르헨티나의 작년 물가 상승률은 54%였고, 올해도 50%를 넘을 전망이다.

아르헨티나는 2018년 IMF로부터 빌린 570억달러를 갚지 못하면 국가 부도를 맞는다. 민간 경제연구소 매크로뷰의 파군도 마르티네스 수석연구원은 "빚을 갚아 부도를 피하는 게 급선무인데 돈을 풀어 허기부터 채우고 있다"고 말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2/14/2020021400076.html



번호 제목 조회 수
41 은행까지 밀고 들어온 '착한 사람 콤플렉스' 141
40 폴란드 집권당, 親與인사로 법관 바꾸고 공영방송 사장도 교체 141
39 '가짜뉴스' 단속 진정성 있나 141
38 2020 경자년 (庚子年) 국민이 대한민국을 구하자! 142
37 '사법 권력' 된 인권법연구회 자진 해체해야 142
36 국민 무관심 속 잇단 정치폭거, 나라가 정상이 아니다 [1] 143
35 상식 배반 대통령 한 명이 불러일으킨 거대한 분노 143
34 '통진당 해산 반대' 헌재 소장, 국민이 받아들일 수 있나 143
33 문재인 대통령이 바라는 나라 144
32 충남 기독교 지도자 1248인 시국선언문 144
31 조국 다음은 선거법 폭거, '문재인 사태' 이제 시작 146
30 '고해성사'까지 털어가나 148
29 대통령 지시 수사의 허망한 결과들, 피해는 누가 책임질 건가 148
28 대법원장, 헌재소장, 헌재재판관 모두가 편향 인사 150
27 "헌법파괴 정권, 한번도 경험못한 거짓의 나라" 151
26 '운동권 권위주의'라는 역설의 시대 154
25 이재수 비극 사흘 뒤 태연하게 '인권' 말한 대통령 157
24 '586 위선'에 대한 20대의 반란 159
23 [좌파독재] 나라의 기본 틀 강제 변경, 군사정권 이후 처음이다 159
22 올해 나는 처음으로 대한민국이 사라질까 걱정했다 163
21 김동하, "①정권 입맛대로 ②수사 선별 ③판검사의 판결·수사행위도 처벌 가능" [좌파독재] 167
» "좌파정권, 나라는 거덜내도 내 냉장고는 꽉꽉 채워준다" 180
19 태극기 집회를 '내란 선동'이라고 수사한다니 180
18 칠면조와 공작 181
17 문재인 대통령의 탄핵을 청원합니다 [1] 190
16 [공수처, 좌파독재] 이번엔 ‘한명숙 건’ 공수처 尹에 4번째 공세, 하는 일이 이것뿐 196
15 통진당 해산 반대 등 功으로 헌재소장 시킨다고 공식화 201
14 ‘낮은단계연방제’는 국가 공식 통일 방안인가? 203
13 한국의 586, 소설 속 '디스토피아'를 현실에 옮겨놓다 225
12 '운동권 청와대' 도가 지나치다 246
11 햇볕정책은 실패했다 293
10 광화문광장 대형태극기 설치 두고 서울시-보훈처 진통 393
9 진보 쪽에서도 '해도 해도 너무한다'는 정권 행태 471
8 정동수 목사, '한기총 대표 전광훈 목사와 나의 관계' 569
7 민주당은 지난 정권 대북정책이 성공했다는 건가 916
6 미사일 맞은 ‘햇볕’ 1011
5 '햇볕' 지키려 아웅산 테러犯 국내 송환 반대했다니 1015
4 햇볕정책의 한계 1071
3 '조국 퇴진' 시국선언 대학교수 3265명 명단 공개…총 4366명 참여 1139
2 DJ의 햇볕정책이 죽어가던 주사파 되살려 1166
1 "진실 따위는 중요하지 않다" 1237

주소 : 04072 서울특별시 마포구 독막로 26 (합정동)ㅣ전화 : 02-334-8291 ㅣ팩스 : 02-337-4869ㅣ이메일 : oldfaith@hjdc.net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