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사건] 제주 4·3 위로 속에 군경 피해자도 잊지 말아야
2022.04.06 14:53
제주 4·3 위로 속에 군경 피해자도 잊지 말아야
[사설: "제주 4·3 위로 속에 군경 피해자도 잊지 말아야," 조선일보, 2022. 4. 4, A35쪽.]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3일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에서 “희생자들과 유가족들의 명예 회복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다. 제주 4·3 사건은 남로당 폭도와 군경이 충돌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제주도민이 희생된 사건이다. 노무현 정부 때 신고된 희생자 숫자만 1만4000명이다. 피붙이를 잃은 유족들은 폭도 가족이라는 오명을 안고 오랜 세월 고통을 받아왔다.
국가가 억울한 희생에 대해 사과하고 위로하는 일은 유족들의 상처를 치유하고 현대사의 비극을 매듭 짓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무고한 희생자들을 국민과 함께 따뜻하게 보듬고 아픔을 나누는 일은 자유와 인권이라는 보편적 가치를 지향하는 자유민주주의 국가의 당연한 의무”라는 윤 당선인의 추념사도 그런 뜻을 담고 있다.
그러나 제주 4⋅3 사건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을 막으려는 남로당의 무장 폭동이 도화선이 됐다는 것 역시 부정할 수 없는 역사적 사실이다. 나라를 무너뜨리려는 세력이 반란을 일으키면 군과 경찰은 당연히 이를 진압해야 한다. 그 진압 과정에서 남로당과 무관한 민간인들도 억울하게 피를 흘렸다고 해서 북의 사주를 받은 국가 반역 행위가 있었다는 본질 자체가 흐려져서는 안 될 일이다.
역대 대통령 중에서 4⋅3 추념식에 참석한 것은 노무현 전 대통령과 문재인 대통령 뿐이다. 다른 대통령들의 불참은 4⋅3 희생에 대한 추모가 자칫 남로당의 국가 전복 시도 자체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잘못 받아들여질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윤 당선인이 대통령 취임 이전부터 4⋅3 추념식에 참석하기로 결심한 것은 극단적으로 분열된 나라와 국민을 하나로 만들고 싶다는 의지에서 비롯됐을 것이다. 이런 국민 통합을 위해서도 억울한 희생을 위로하는 한편으로 무장 폭동으로 대한민국의 탄생을 방해하려 했던 북한과 남로당의 소행을 분명히 기억하는 일 역시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 또 윤 당선인이 언급한 무고한 희생자 속에는 나라를 지키려다 전사한 군과 경찰들도 당연히 포함돼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