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민노총·통진당 수백 차례 방북, 간첩 활동과 관련 없나

[사설: "민노총·통진당 수백 차례 방북, 간첩 활동과 관련 없나," 조선일보, 2023. 5. 3, A35쪽.]

민주노총이 2003년 이후 단체 명의로 북한을 114차례 다녀온 것으로 나타났다. 내란 선동 혐의로 해산된 통합진보당 인사들은 101회나 방북했다. 금강산이나 개성공단이 아닌 대부분 평양 방문이었다. 민노총은 전·현직 간부들이 북한 지령에 따라 반국가·이적 활동을 벌인 간첩 협의로 수사를 받고 있다. 이런 간첩 활동이 비정상적으로 빈번했던 방북과 관련 있는 것 아니냐는 의심이 들 수밖에 없다.

민노총과 통진당 인사들의 방북은 주로 노무현·문재인 정부 때 집중됐다. 민노총은 노 정부 시절 87회, 문 정부 때 5회 북한을 다녀왔다. 통진당 방북도 노 정부 때 집중됐다. ‘남북 노동자 통일 대회’ ‘6·15 남북공동선언 연대 모임’ ‘남북 축구 대회’ 등 명목이었다. 전세기까지 동원한 방북이 많았다. 하지만 이들의 북한 행적은 제대로 파악되지 않고 있다.

민노총 전·현직 간부 4명은 해외에서 북한 공작원과 접촉해 ‘청와대 등 주요 기관에 대한 송전선망 체계를 입수해 마비시키도록 준비하라’는 지시를 받는 등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구속됐다. 이들은 북한에서 반미·반정부 시위 지침을 받고 핼러윈 참사 땐 ‘퇴진이 추모다’ 등 시위 구호까지 전달받았다.

핵심인 민노총 조직국장은 개인 자격으로만 3차례 방북했다. 민노총 단체 방북 때도 갔을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그는 이후 100여 차례 북한과 접촉해 대남 지령문과 보고문을 주고받으며 활동 자금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그는 평택·오산 기지 등에 접근해 활주로, 탄약고, 미군 정찰기, 패트리엇 포대 등을 촬영해 북한에 보고했다. 그 역시 수차례 방북 때 북에 포섭됐을 가능성이 있다.

통진당을 이끈 이석기 전 의원은 2005년 등 두 차례 방북했다. 당시 이 전 의원은 민혁당 사건으로 유죄 확정 판결을 받은 뒤 가석방 상태였다. 국가보안법 사범이 형기 중에 북한을 방문하도록 노무현 정부가 허가한 것이다. 이런 무차별 방북이 통진당의 세력 확장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좌파 정당과 단체, 노조의 일부 인사들은 북한에서 한편처럼 행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정부는 이들이 방북 때 누구를 접촉하고 어떤 활동을 했는지 실상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북 주민 접촉 신고를 하지 않아도 과태료는커녕 서면 경고뿐이다. 민노총을 비롯해 창원·진주·제주 등 전국에 지하 간첩 조직이 판치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을 것이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화웨이의 충격적인 실체 175
공지 안보를 위태하게 하는 정부 187
공지 역설의 국제정치학 212
공지 2년 만에 월남 공산화 초래한 1973년 평화협정 1017
공지 평화에 취한 월남, 누구도 남침 믿지 않았다 1213
공지 월남의' 붉은 민주 투사'들 1032
공지 베트남, 패망전 비밀공산당원 5만명 암약 1109
공지 1975년 월남 패망(敗亡)의 교훈 1266
공지 입만 열면 거짓말인 북한전문가들 929
공지 2004년 육사 假입교생 34% ‘미국이 주적’ 1196
50 문 대통령은 우리 국군이 불편하고 싫은가 114
49 '戰作權 전환' 北 비핵화 후 검토해도 늦지 않다 117
48 '김정은 핵 포기 뜻 없다'는 명백한 사실 직시해야 한다 117
47 총 한 발 못 쏘고 敗戰하는 법 119
46 '5G 장비, 사이버 위협에 노출' 지적에 안보지원司 화들짝 119
45 한국이 그토록 두려워한 세상 120
44 안보 고립, 외교 실종, 경제 위기 자초 120
43 金 "對南 경고"라는데 文은 침묵하고 軍은 "위협 아니다"라니 121
42 한국군, '방어用' 일본 자위대 지향하나 122
41 이 정부 안보는 노선에 앞서 기본 지식 부족이 문제 122
40 이번엔 北 미사일, 동네북 신세 된 대한민국 안보 122
39 文 대통령의 '나쁜 평화' 124
38 사드 난리치던 중국, 전투반경 2000㎞ 무인기 한반도 인접 배치 128
37 美 '文 정부' 찍어 작심 비판, 韓 빠진 '新애치슨 라인' 우려된다 130
36 北核은 그대로, 同盟만 흔들린 싱가포르 이후 1년 130
35 '홍콩의 오늘은 세계의 내일' 131
34 이러니 靑 안전보장회의도 봉숭아학당 아닌가 137
33 한·중 "사드 문제, 좋은 방향으로 논의했다" 무슨 뜻인가 144
32 김태우, 한국군이 망가지고 있다 144
31 병사들이 "전쟁 나면 우린 무조건 진다"고 한다 150
30 美 "靑이 거짓말" 황당하고 참담하다 158
29 김흥광, 충격증언! 방북자에 대한 여색심리공작 실태! 165
28 북한 눈치만 보다가 한국軍 '종이호랑이' 되나 169
27 트럼프.문재인.김정은 체제 속 한국 안보는어디로 가나 172
26 북한은 우리의 敵手가 못 된다는 교만과 착각 174
25 갓끈 잘라버리면 대한민국이란 갓은 바람에 날아갈 것 182
24 KT 화재로 마비된 '戰時 청와대' 지휘망 184
23 北 특수부대 서울 침투하면 188
22 남북 군사 합의, 안보 튼튼해지나 불안해지나 207
21 文 정부의 '축소 지향' 국방 개혁 210
20 마오쩌둥 "사령부 공격하라"… 홍위병 광기에 中 10년간 대재앙 222
19 덕수궁에서 일어난 일들 229
18 대한민국 수호 예비역 장성단 243
17 적폐 청산식 외교·안보, 나라 어디로 끌고 가나 269
16 김정은의 명언(?) 271
15 '촛불'로 나라를 지킬 수 있는가 274
14 2차 세계대전 발발 직전 프랑스 국민들의 선택 308
13 文 정부의 親中, 위험한 도박이다 332
12 '우리 민족끼리'의 함정 872
11 평화통일의 최대 적은 남한 종북세력 907
10 10년 후 최대 안보위협국은 중국 912
9 안보 갖고 정치하지 말자 959
8 북한은 ‘미군철수’ 노린다 988
7 대선 와중에 실종된 한국 안보 1011
6 전쟁을 피하기 위해 정말 필요한 것 1015
5 "국정원법, 국가안보위협에 대비해야" 1019
4 새 정부, 국가보안법 강화해야 1022
3 金대중·盧무현 安保위기 초래 장본인 1063
2 탈북기자가 본 ‘전쟁 위험’ 1151
1 우리 국가보안법은 존속돼야 1273

주소 : 04072 서울특별시 마포구 독막로 26 (합정동)ㅣ전화 : 02-334-8291 ㅣ팩스 : 02-337-4869ㅣ이메일 : oldfaith@hjdc.net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